-
IA_정보 구조 설계서비스 기획 2025. 4. 22. 13:48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란?
정보 구조란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와 기능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주는 설계 방식.
왜 중요할까?
- 정보 구조는 사용자의 길잡이. 복잡한 정보 속에서도 사용자가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 지도 역할을 한다.
- 보여주기, 검색, 브라우징, 레이블링, 분류, 정렬, 조작, 정보 숨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게 한다.
- 정보 구조가 잘 설계되어야 사용자는 웹사이트나 앱을 직관적으로, 스트레스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앱을 만든다고 생각했을 때
• [ 옷, 신발, 가방 ] 이렇게 카테고리를 나누고
• [ 상의 → 셔츠 → 브랜드 ] 처럼 계층 구조로 정리하고
• [ 신상품, 베스트, 세일 ] 같은 탐색 방법을 제공하고
• [ 화이트 셔츠 ] 를 검색했을 때 필터를 사용해 쉽게 고를 수 있게 해주는 것
이런 모든 게 정보 구조 설계에 포함된다.
정보 구조 설계에서 하는 일들
1) 콘텐츠나 기능을 어떻게 나눌지 구조 짜기
→ 예: 메뉴를 어떻게 나눌까? 어떤 항목부터 보여줄까?
2)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탐색 흐름 만들기
→ 예: 검색창, 메뉴, 카테고리, 필터 기능
3) 복잡한 정보도 직관적으로 보이게 정리하기
→ 예: 상품 비교 화면, 뉴스 기사 묶음 등
4) 단어와 레이블을 쉽게 이해되게 정하기
→ 예: ‘찜하기’ vs ‘즐겨찾기’ 같은 용어 선택
5) 사용자가 길을 잃지 않게 화면 유형이나 구성 통일하기
→ 예: 상세페이지는 항상 오른쪽에 ‘장바구니’ 버튼 두기
즉, 정보 구조는 정보의 ‘지도’를 만드는 일이다.
사용자들이 길을 헤매지 않고 쉽게 찾고, 보고, 클릭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해준다.
정보 구조 설계 접근법
정보 구조를 설계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데이터와 태스크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쉽다. 구체적인 비주얼을 고민하기 전 개념적으로 접근하자.
1. 어떤 정보와 도구를 보여줘야 할까?
사용자에게 정말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생각하기
2. 이 정보를 언제, 어떤 순서로 보여주면 좋을까?
사용자가 앱을 켰을 때, 가장 먼저 보고 싶은 건 뭘까?
사용자 흐름(Flow)에 맞춰 정보를 보여주는 시점을 설계하기
3. 정보와 기능을 어떻게 나눌까? (분류와 정렬)
카테고리를 나누고 그 안의 항목도 우선순위나 목적별로 정리하기
자주 쓰는 기능은 위쪽에, 가끔 쓰는 건 더 안쪽에!
4. 사용자는 이 정보와 기능으로 뭘 할까?
정보를 보고 ‘기록하기’, ‘확인하기’, ‘비교하기’처럼 사용자의 행동(Task)을 고려해 흐름을 설계하기
5. 보여주는 방식은 다양한가?
상황에 따라 한눈에 보기,리스트 형식, 달력 보기, 차트 보기, 카드형 보기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한다.
6. 어떻게하면 사용하기 쉽게 만들까?
텍스트는 쉬운 단어로!
반복적인 행동은 더 빠르게 처리되게!
실수했을 때 되돌릴 수 있게!
이런 작은 배려들이 사용성을 높여준다.
이 질문들을 고려해 추상적으로 고민해보아야 한다.
상호 배타적이면서 전체를 포괄하기
1. 카테고리는 중복되지 않으면서 서로 명료하게 구분되어야 한다.
2. 전체를 포괄한다는 것은 전체를 종합하면 정보의 스키마가 완성된다는 의미다.
이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이 다루어야 하는 모든 정보와 설계하고 있는 모든 상황 및 유스케이스를 포함해야 한다. 모든 것을 발견할 수 있고, 새로운 것은 무엇이든 추가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프로세스 후반에 정보 구조를 망가뜨리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게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출처 : [도서]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UX/UI의 비밀 + Chat GPT
'서비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 Component : CSS Box Model (0)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