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IA_정보 구조 설계서비스 기획 2025. 4. 22. 13:48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란?정보 구조란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와 기능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주는 설계 방식.왜 중요할까?정보 구조는 사용자의 길잡이. 복잡한 정보 속에서도 사용자가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 지도 역할을 한다.보여주기, 검색, 브라우징, 레이블링, 분류, 정렬, 조작, 정보 숨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이해하고 탐색할 수 있게 한다.정보 구조가 잘 설계되어야 사용자는 웹사이트나 앱을 직관적으로, 스트레스 없이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쇼핑몰 앱을 만든다고 생각했을 때• [ 옷, 신발, 가방 ] 이렇게 카테고리를 나누고• [ 상의 → 셔츠 → 브랜드 ] 처럼 계층 구조로 정리하고• [ 신상품, 베스트..
-
인터페이스에서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떻게 행동할까?서비스 기획/UXUI 2025. 1. 22. 00:28
[책 요약] 출처 :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UXUI의 비밀사람들이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가장 일반적인 행동 패턴 13가지안전한 탐색 Safe Exploration즉각적 만족 Instant Gratification만족화 Satisficing중도에 바꾸기 Changes in Midstream선택 미루기 Deferred Choices점진적 창조 Increamental Construction습관화 Habituation짬시간 활용 Microbreaks공간 기억 Spatial Memory미래 계획 기억 Prospective Memory능률적 반복 Streamlined Repetition키보드만 사용하기 Keyboard Only소셜미디어 Social Media, 소셜프루프 Social Proof, 협업 Co..
-
UI Component : CSS Box Model서비스 기획 2025. 1. 16. 15:14
1. Content (내용)• 요소의 실제 내용이 들어가는 영역• 텍스트, 이미지, 기타 콘텐츠가 위치하며, width와 height 속성으로 크기를 설정할 수 있음 2. Padding (안쪽 여백) • 콘텐츠와 경계선(Border) 사이의 여백 • 콘텐츠가 박스 경계선에 너무 가까이 붙지 않도록 조정 • padding 속성을 사용하여 설정하며, 각 방향별로 세부 조정이 가능 • (시계방향) padding-top, padding-right, padding-bottom, padding-left 3. Border (테두리) • 패딩과 마진 사이에 있는 테두리 • border-width, border-style, border-color 등을 사용하여 설정 • 테두리의 두께, 스타일(예: solid, das..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식별자 IdentifiersSQL/SQLD 2025. 1. 8. 18:20
식별자 Identifiers하나의 엔티티에 구성되는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티티를 대표하는 속성하나의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식별자는 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하고, Key는 물리 데이터 모델링에서 사용 식별자 특징유일성: 주식별자에 의해 엔티티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e.g. 사원번호(주식별자)가 모든 직원들에 대해 개인별로 고유하게 부여최소성: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e.g. 사원번호만으로도 고유한 구조, 사원분류코드+사원번호로 식별자가 구분되면 부적절한 주식별자불변성: 주식별자가 한번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면 그 식별자의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함e.g. 사원번호의 값이 변한다는 의미는 이전 기록이 말소되고 새로운 기록이 발생된 개념존재성: 주식별자가 지..
-
ERD : 데이터 모델링 시각화SQL/SQLD 2025. 1. 8. 18:02
ERD앞서 설계된 엔티티와 엔티티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 ERD 에 대한 설명1976년 Peter Chen에 의해 Entity-Relationship Model이라는 표기법이 만들어졌다. [역사]일반적으로 ERD를 작성할 때 [엔티티 도출 → 엔티티 배치 → 관계 설정 → 관계명 기술] 의 흐름으로 작업을 진행한다.관계의 명칭은 관계 표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에 해당한다.가장 중요한 엔티티를 왼쪽 상단에서 조금 아래쪽 중앙에 배치하고 추가로 발생하는 엔티티들을 오른쪽 하단에 배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ERD 작성 순서엔티티를 그린다.엔티티를 배치한다.엔티티 간 관계를 설정한다.관계명을 기술한다.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 (필수 vs 선택 엔티티)관계의 필수 여부를 기술한다.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관계 RelationshipSQL/SQLD 2024. 12. 13. 17:36
관계 Relationship관계는 엔티티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개념엔티티 인스턴스 간의 논리적 연관성으로, 존재 형태나 행위의 형태로 서로에게 연관성을 부여한 상태를 의미 관계의 종류존재적 관계 - 엔티티 간의 연관된 상태e.g. 고객이 은행에 회원가입을 한 경우행위적 관계- 엔티티 간의 어떤 행위가 이루어지는 상태e.g. 고객이 특정 물품을 주문한 경우ERD(개체-관계 다이어그램)에서는 관계를 연결할 때, 존재적 관계와 행위적 관계를 구분하지 않고 단일화된 표기법을 사용 관계의 표기법‣ 관계명 : 관계의 이름‣ 관계차수 : 관계의 유형 (1:1, 1:M, M:N)‣ 관계선택사항 : 필수관계 or 선택관계 관계명 Membership엔티티가 관계에 참여하는 형태, 각 관계는 두 개의 관계명을 가짐관계 시..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속성 AttributeSQL/SQLD 2024. 12. 12. 16:30
속성 Attribute엔티티가 가진 특징이나 특성으로, 엔티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의미상 더 분리되지 않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속성 개수 제한 X → 최소화 필요주식별자에게 함수적 종속을 가져야 한다.1개의 엔티티는 2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이다1개의 엔티티는 2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1개의 속성은 1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다중값 속성 : 1차 정규화 or 별도의 엔티티 필요 속성의 분류⎮ 특성에 따른 분류기본 속성 Basic Attribute- 업무로부터 추출된 모든 속성- 업무 프로세스나 실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값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e.g. 제품명, 제조년월, 제조원가 등설계 속성 Designed Attribute- 업무상 존재하지 않지만 설계하면서 도출해내..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엔티티 EntitySQL/SQLD 2024. 12. 12. 15:34
엔티티 Entity현실 세계에서 독립적으로 식별 가능한 객체나 사물모델링할 때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는 대상을 의미엔티티는 인스턴스(실제 데이터 레코드), 속성(엔티티의 특징), 식별자 등을 포함e.g. 학교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하자. 이때 엔티티는 [학생] 속성은 [학번] [이름] [학과] 등이 올 수 있고, 식별자로는 [학번]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이때 인스턴스는 특정 학생의 데이터 [학번: 2022001234]를 가리킨다. 엔티티의 자격2개 이상의 속성과 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져 소위 면적으로 표현될 수 있어야 비로소 기본적인 엔티티의 자격을 가짐 엔티티의 특징업무에 필요하고 관리 가치가 있어야 함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함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함 ..